외모 비수기 극복 비결
![여성은 생리를 전후해 호르몬의 영향으로 얼굴이 붓고 피부가 칙칙해 보일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https://imgnews.pstatic.net/image/296/2025/09/15/0000092950_001_20250915080307654.jpg?type=w860)
여성은 생리를 전후해 호르몬의 영향으로 얼굴이 붓고 피부가 칙칙해 보일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요즘 얼굴 못생겨 보여서 거울도 안 봐."
'얼태기'라는 말이 있다. '얼굴 권태기'의 줄임말로 유독 얼굴이 못생겨 보이는 시기를 일컫는다. 매일 보는 자신의 얼굴인데 이상하게 칙칙하고 피곤해 보일 때가 있다. 심지어 얼굴에 뾰루지가 나거나 날렵하던 턱선이 두툼해 보이기도 한다. 얼태기는 괜한 기분 탓일까. 정말 얼굴이 못생겨 보이는 시기가 있다면 극복 방법은 무엇일까.
여성은 생리 전후로 얼굴 붓고 푸석푸석
여성은 생리 전후로 외모가 변했다고 느낄 수 있다. 살이 찌면서 얼굴은 붓고 피부까지 푸석푸석한 듯한. 이는 기분 탓이 아니라 호르몬 변화로 나타나는 신체 증상이다. 배란 후 생리 직전까지 여성의 몸에서는 황체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 분비가 증가한다. 호르몬의 영향으로 피지 분비가 증가하면서 모공이 막히고 얼굴에 여드름과 뾰루지가 하나둘 올라온다. 몸이 붓는 증상도 이 호르몬의 영향이다. 프로게스테론은 몸에 수분과 나트륨을 잡아두려는 성질이 있어서 몸이 쉽게 붓게 된다.
생리 직전에서 생리 중에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분비가 동시에 떨어진다. 이 영향으로 피부 장벽은 약해지고 수분도 쉽게 날아간다. 피부가 윤기 없이 푸석푸석하고 약간 자극에도 쉽게 울긋불긋해지기 쉽다. '피부에 화장이 스며들지 않고 들뜬다'고 느껴질 때가 바로 이 시기다.
자극적인 음식 당기는 시기…얼태기 피하려면
한 달에 한 번씩 찾아오는 이 시기를 '얼태기' 없이 잘 넘기려면 '맵고 짜고 단' 음식을 줄여야 한다. 특히 라면처럼 염분이 많은 인스턴트 음식은 얼굴 부기를 심하게 한다. 달콤한 음식으로 기분을 풀어야 한다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당 섭취로 인한 기분 변화는 일시적인 스트레스 해소일 뿐, 체중증가로 이어져 기분을 더 우울하게 만든다. 또 당분이 많은 음식은 피부 문제의 주된 원인이다.
자극적인 음식 대신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먹는 것이 좋다. 특히 바나나처럼 마그네슘이 풍부한 음식은 생리통과 생리 전후 기분 저하를 완화한다. 무엇보다 가벼운 운동으로 혈액순환을 촉진하면 칙칙해 보이는 안색을 개선할 수 있다.
![가벼운 운동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서 안색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https://imgnews.pstatic.net/image/296/2025/09/15/0000092950_002_20250915080307695.jpg?type=w860)
가벼운 운동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서 안색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눈 밑 다크서클과 피부 노화 부르는 수면 부족
눈 밑이 검고 피부에 탄력이 없으면 외모에 대한 자신감도 줄어든다. 이런 두가지 증상을 부르는 대표적인 원인이 수면 부족이다. 우리가 잠을 잘 때는 성장호르몬이 분비된다. 손상된 피부 세포가 회복되고 콜라겐이 생성되는 시간이다. 수면 시간을 줄인다는 건 노화를 늦추는 시간을 빼앗는 지름길이다.
잠이 부족하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분비가 증가한다. 코르티솔은 피지 분비를 촉진해 얼굴에 여드름과 트러블이 생기도록 한다. 피부 건강에 필수인 콜라겐 분해도 촉진해 얼굴에 잔주름을 유발한다. 군것질이 늘면서 살도 찐다.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에 따르면 '8시간 수면 집단'과 '5시간 수면 집단'의 호르몬 수치를 비교한 결과, '5시간 수면 집단'의 사람들은 식욕을 촉진하는 '그렐린'이 14.9% 더 분비되고 식욕을 억제하는 '렙틴'은 15.5% 덜 분비됐다.
잠만 잘 자도 적정 체중 유지에 도움
성인의 적정 수면시간은 7~8시간이다. 사람마다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다수의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다. 매일 규칙적으로 7~8시간 잠을 자면 '기초대사율'이 높아진다. 몸의 열량을 태우고 음식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속도가 빨라져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된다는 의미다. 반면 잠이 부족하면 호르몬의 균형이 무너지고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뇌가 '지방'과 '당 섭취'가 필요하다고 인식한다.
주은연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는 "잠이 부족하면 호르몬 불균형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당연히 살이 찌게 된다"며 "잠을 충분히 자면 '살이 빠진다'라고 말하긴 힘들지만,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건 분명하다"고 말했다.